임블록의 Web3.0 도전기

Let's make blockchain Good Again!

반응형

스타트업 14

[컴활 실기] 데이터베이스 큰따옴표와 작은따옴표 차이

에듀윌 교제를 통해 컴활 1급 실기를 준비중이예요.컴활 1급 실기 과목 중 하나, 데이터베이스 실습 중 궁금한 점을 발견했어요. 문자열을 입력하는데 어디엔 작은따옴표(')가 쓰이고, 어디엔 큰따옴표(")가 쓰이더라고요.지금까지 스프레드시트에서는 항상 큰따옴표를 썼는데,여기선 작은따옴표를 쓰고, 심지어 오류도 나오는 경우가 있어서 이게 뭔가 싶더라고요. 열심히 제가 찾아보고 나서 결론을 아래에 정리했어요.핵심 결론함수 내에서 데이터로 처리해야하는 경우엔 작은따옴표,엑세스를 통해 문자열로 표시하는 경우엔 큰따옴표. 즉,✔ 컨트롤 원본에서 문자열을 감쌀 때 → 작은따옴표(') 사용✔ VBA 코드 내 문자열을 감쌀 때 → 큰따옴표(") 사용 아래는 예시입니다.작은따옴표(') 사용=IIf([지원방식]='정기', ..

[컴활 필기 개념] 공개키의 대표적 활용 예시(HTTPs, 전자서명, SW 업데이트 등) 공개키 암호화의 장단점

비밀키와 공개키는 암호화 기술의 기본 개념이며,컴퓨터 활용능력 1급 필기의 기출에서도 여러번 나온중요한 개념입니다. 비밀키와 공개키의 개념은 모두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에서 사용됩니다.특히 공개키는 비대칭키 암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다양한 실생활의 보안 시스템에서 활용됩니다.공개키의 사용 예시와 암호화, 복호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공개키의 대표적인 사용 예시(1) SSL/TLS 프로토콜 (HTTPS)사용 목적: 인터넷에서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작동 방식:웹사이트가 공개키를 담은 인증서를 클라이언트(브라우저)에게 전달.클라이언트는 공개키를 사용해 데이터를 암호화해 서버에 전송.서버는 자신만이 가진 비밀키로 데이터를 복호화.예시: HTTPS 웹사이트 접..

(시맨틱 웹과 인공지능 기술) 정의와 차이점에 대하여

시맨틱 웹(Semantic Web)과 AI(인공지능)의 상위 개념은 기술(Technology)로 볼 수 있습니다.그러나 이 둘은 단순히 기술로만 묶기에는 각각의 특성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정보 처리와 활용이라는 더 넓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시맨틱 웹(Semantic Web)이란데이터를 구조화하고,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표현하여 의미를 연결하는 기술입니다.  이와 반면에,인공지능 기술(AI 기술)이란데이터를 학습하고 패턴을 기반으로 문제 해결, 의사결정, 생성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이죠. 시맨틱 웹은 기계가 데이터를 이해하고, 의미와 관계를 연결하도록 돕는 것이고,AI기술은 기계가 학습하고 추론, 의사결정하고 창의적 작업을 수행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시맨틱 웹은 데이터의 표현과 ..

[컴퓨터 활용능력 필기] 비트 바이트 니블 워드 필드 레코드 파일 의미와 활용 예시 (니블의 유래)

자료의 구성 단위는 데이터 표현과 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만들어진 개념적 단위입니다.각각의 단위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구조와 계층적 관계를 나타내며, 데이터의 크기와 의미에 따라 나뉩니다. 컴퓨터 활용능력에 나오는 자료의 구성단위는 아래 8가지가 있습니다.비트니블바이트워드필드레코드파일데이터베이스각 키워드별 핵심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비트: 데이터의 최소 단위.니블: 4비트로, 작은 데이터 표현.바이트: 8비트로, 문자 하나 표현.워드: CPU가 한 번에 처리하는 데이터 크기.필드: 하나의 속성 값(예: 이름, 나이).레코드: 여러 필드로 구성된 개체의 데이터(예: 한 학생의 정보).파일: 여러 레코드의 집합(예: 학생 명단).데이터베이스: 여러 파일의 논리적 집합(예: 학교 관리 시스템).왜 이..

대기업 프리랜서 PM의 삶 - 불안, 초조

나는 프리랜서 PM으로 대기업에서 일하고 있다. 그동안 스타트업에서 PM을 해왔던 터라, 대기업의 PM의 일하는 방식에 있어서 많은 것이 낯설었다. 일하는 방식과 복잡한 승인라인, 복잡한 승인라인 안에서 일어나는 부서간 밥그릇 경쟁. 내가 속한 실무자 그룹의 평균 나이가 10살 이상 높아지고 나니 발생하는 일상 대화 속에서 벽으로 느껴지는 세대 차이.. 같은 직원이지만 은근하게 느껴지는 갑과 을사이의 관계 프리랜서라는 특성상 회사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소외, 그들 문화 가운데서 느껴지는 벽. 덩그러니 떨어져 이 많은 것의 맥락을 파악해야 업무가 가능할텐데 나에게 이곳은 낯설어도 너무 많이 낯설었다. 이 가운데 짧은 기간 안에 파악하고 1인분이상을 하여야 나 스스로를 입증해내고 책임지는 것의 오롯한 책임이 ..

NFT PM(PO), 5일만에 런치패드에 프로젝트를 올리다.

이 모든 것이 5일만에 일어난 일이였다. 전지전능한 하나님도 세상을 6일동안 창조하시고 사람을 만드셨는데, 나는 런치패드 파트너십 계약 체결 하고 5일만에, 그 런치패드에 내 프로젝트를 올렸다. 런치패드를 내부적으로 확정한지는 13일만이였다. 너무나도 정신없는 날들의 연속이였다. 우리 프로젝트는 6월 14-18일, BUIDL Vietnam에 가기로 하였고, 내가 맡은 프로젝트는 BUIDL Vietnam 직후 첫 NFT 세일을 목표날짜로 잡았다. 이를 위해 온라인에서의 마케팅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인 시장에서 Hype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직접 프로젝트의 내부 사람이 행사에서 발로 뛰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6월 첫째주, Web3 행사를 뛰다. 서울에서 진행한 ETHSeoul, BUIDL Asia등 주말에도 ..

[커리어 고민] 사업기획자, 나는 왜 PM이 되고 싶었나? PM 선택 이유

안녕하세요, 임블록입니다. 최근 블록체인 시장이 좋지가 않죠. 커리어 관련해서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저는 지난 5년 이상을 사업기획/리서치 업무를 주로 해왔고 최근 1년이 안되는 시간에 PM이라는 포지션을 받아 업무를 진행했었어요. 그동안 PM으로서 제가 맡았던 업무를 서술하고 이후 5년 이상의 사업기획자의 커리어에서 PM으로 도전했던 이유를 아래에 서술하고자 합니다. 혹시나 제가 어떤 업무를 했는지 궁금하시다면 여기에 짧게 적었어요! https://minchah.tistory.com/107 PM 직무 이직. 사업기획자에서 PM으로 안녕하세요, 임블록입니다. 최근 블록체인 시장이 좋지가 않죠. 커리어 관련해서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저는 지난 5년 이상을 사업기획/리서치 업무를 주로 해왔고 ..

PM 직무 이직. 사업기획자에서 PM으로

안녕하세요, 임블록입니다. 최근 블록체인 시장이 좋지가 않죠. 커리어 관련해서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저는 지난 5년 이상을 사업기획/리서치 업무를 주로 해왔고 최근 1년이 안되는 시간에 PM이라는 포지션을 받아 업무를 진행했었어요. 혹시나 도움이 누군가에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제가 PM으로서 어떤 일을 했는지, 그 전에 무슨 일을 했는지 짧게 적어보았습니다. 1. 그 이전에 담당한 업무 : 사업기획, 사업전략 (2018.1월 - 2022.2월, 5년) [1] 블록체인 기술 연구 (특허 등록 2건) [2] 정부지원사업 기획 및 진행 (R&D 등, 최대 1억원 수주. 전담) [3] B2B 사업개발 [4] IR 제작 및 피칭 [5] M&A 준비 TF 2. PM으로서 맡았던 업무 (2022.2월- ..

[PM 업무] 프로젝트 관리의 각 단계에서 프로젝트 관리자가 하는 일이란?

프로젝트 관리는 프로덕트 오너의 방법론과는 조금 차이가 있는 것 같다. 하지만 개략적으로 업무에 어떤 논리의 방식과 툴이 있는지 등을 배우기에는 좋은 것 같다. 지금 현재 PMB를 기준으로 PM을 공부하고 있다. 이전에 프로젝트 관리에 대해 개략적인 설명 글을 작성하였다. 이 글을 참고해도 좋을 것 같다. https://minchah.tistory.com/30 [프로젝트 더보기 #1] 프로젝트란? 그리고 프로젝트의 프로세스를 알아야 하는 이유? 이책은 다음의 책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더 괜찮은 개발자가 되기 위한 프로젝트 더보기 - 내 기술에 깊이를 더하는 프로젝트의 생성과 소멸 1. 프로젝트 정의 제한된 시간 안에 한정된 자 minchah.tistory.com 이 글 보다는 조금 더 브로드한 개념..

[일잘러의 보고서 작성법] 글을 잘 쓰는 방법이 무엇일까? (1-3장 요약)

PM으로 일하면서 중요한 자질 중 하나는 #의사소통능력 이런 의사소통능력은 여러가지 다른 능력을 포함한다고 생각합니다. 문서 구두 정형적 복잡한 문제 해결시 체계적 문서로 공유 - 프로젝트 헌장,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PRD 등등 즉석해서 피드백을 얻고자 할 때, 혹은 맥락을 전달하고자 - 프레젠테이션, 스피치 등 비정형적 단순 정보 공유 메모, 이메일, 슬랙 1 on 1, 팀 내 아이디어 수렴 회의 등 누군가는 결국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이기 때문에 PM은 감정에 대한 지능(EQ)가 높아야 한다고 등등 이야기하기도 한다. EQ는 주로 비정형적인 구두 커뮤니케이션에서 많이 나오는 것이고, 정확한 정보 소통을 위해서는 결국 문서도 중요하게 된다. 나도 받았던 피드백 중 하나는, 문서의 체계화이다. 나 ..

반응형